2022. 10. 8. 23:58ㆍ개인 개발 TIL
오늘은 3주간 해온 프로젝트의 중간 발표 날이였다. 멘토님께서는 어떤 기술스택을 사용할때 목적과 이유를 분명히 하라고 하였다. 이건 어디 분야를 가던지 항상 들어온 말 같았다. 그리고 테스트 코드에 관해서도 말씀을 해주셨다. 나같은 경우 spring boot framework를 사용하여 Junit를 사용하여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계획이였는데 모든 기능을 구현하고 작성할 계획이였다. 그와반대로 같은 팀원분은 테스트 코드를 주기적으로 작성을 하였다. 그것을 보고 멘토님이 테스트코드는 귀찬더라도 바로바로 작성을 해주는것이 좋다고 말씀을 해주셨다. 앞으로는 바로바로 작성하는 습관을 좀 들여야겠다.
그리고 실시간 채팅의 db로 redis를 사용하려고 했는데 멘토님이 redis의 캐시 기능과 펍섭 기능에 대해 말해주시면서 어떤 기능을 주로 쓸건지 제대로 알아보고 사용하는것이 좋다고 말씀해주셨다. 내가 구현하는 부분은 아니지만 나중을 위해서 좀 더 공부를 해바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멘토인 시간이 끝나고 부당한 회원에 대한 신고 기능을 만들기 위해 팀원분과 상의를 하였다. 부당한 게시글, 댓글, 사용자에 대해 신고를 해서 따로 테이블에 저장을 하여 안보이게 처리를 하기로 결정했다. 근데 이것을 구현할때 상속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평소에 알고있는 개념이라 쉽게 될줄 알았는데 각각 entity에 대해 repository를 어떻게 하지 라는 고민에 빠져 구글링을 하다가 결국 아직 해답을 찾지 못했다. 평소 알고 있던 개념이라도 역시 복습을 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는 것을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다. 구글링을 통해서 공부를 하기 때문에 공부한것을 이곳에 올리지는 못하지만 내일까지 상속에 대해 공부를 해서 이 문제를 잘 해결할수 있으면 좋겠다.
'개인 개발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1-21) 배열과 리스트 (0) | 2022.11.21 |
---|---|
(2022-11-06)Spring Web MVC의 Dispatcher Servlet의 동작 원리 (0) | 2022.11.06 |
(2022-11-04)Spring Framework와 Spring Boot의 차이 (0) | 2022.11.04 |
(2022-11-03) JPA는 무엇인가? (0) | 2022.11.03 |